본문 바로가기
질적연구이론

연구의 결과 (질적 연구 中)

by 커피콩트 2022. 8. 20.

질적 연구 글쓰기 요소에서 연구의 결과 단계는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연구자가 해당 연구를 통해 알아낸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결과를 표현할 때의 방법, 연구의 결과를 기술할 때 중요한 것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연구의 결과

연구의 결과를 범주나 카테고리 맞게 표현하는 방식은 가장 보편화된 방식이다. 질적 연구의 방법은 여러 가지로서, 근거 이론 연구, 내러티브 연구, 생애사 연구 등등으로 존재하는데 각각의 방식에 따라 연구의 결과를 적을 때의 성격 또한 다르다.

범주 및 카테고리에 맞게 표현하는 것은 근거이론에 입각한 방식으로 가장 과학적이고 유용해 모든 질적 연구 이론 방식의 널리 쓰이고 있는 추세이다. 

 

내러티브 연구나 생애사 연구는 연구결과를 수필이나 소설처럼 이야기 형식으로 자연스럽게 서술하는 방식을 쓴다.

이렇듯 연구의 결과를 적는 방식은 각각 다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점은 공통적으로 해당 결과가 나온 이유를 근거할 수 있는 효과적으로 증거 제공하는데에 있다. 연구자의 문서수집자료, 관찰노트, 인터뷰 자료 등등의 자료 데이터들은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주는 유용한 증거물품들이다.

 

하지만 해당 증거품들이 얼마만큼 제공이 되어야 해당 결과가 합당한 지에 대한 판단은 주관적인 것으로서, 연구자마다 상이하다. 증거물품들이 많을수록 독자들의 입장에서 해당 연구를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이 되지만 과할 경우 해당 자료들을 쳐다보지 않고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로 정해지진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하나의 연구 결과의 3~5개 정도의 증거자료 등을 첨부하는 것이 적당하다.

해당 자료들을 효과적으로 보이기 위해 연구자는 도표 등을 사용하여 해당 자료들의 연관성, 상호작용 관계 등을 정리한다. 이러한 방법은 독자들이 한 층 더 연구자료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단순히 텍스트로 작성했을 때보다 그림 도표를 첨부하여 해당 자료를 더 쉽고 빠르게 뇌에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표를 이용할 때에는 세세하게 다 적어 설명하기보다는 꼭 필요한 정보만을 함축하여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해당 그림이 무엇을 뜻하는지 그림 설명도 같이 들어가 있어야 한다. 그림과 함께 내용이 들어가 있긴 하지만 연구자 입장에서 보는 이미지와 독자 입장에서 보는 이미지 뜻이 서로 같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그림설명내용은 함께 적는 것이 좋다.

 

질적 연구의 제한점?

질적 연구 논문을 읽다 보면 가끔씩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서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질적 연구의 결과는 일반화할 수 없다는 말은 맞다. 하지만 이것이 제한점이 되진 않는다.

 

이것은 하나의 특성으로서 양적 연구처럼 공동의 참여자들을 모집해 공통점을 도출해내는 연구가 아니기 때문인데, 질적 연구가 하나의 현상을 이해하며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이론으로 본 결과를 성립하는 것만 봐도 위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댓글